버나드 쇼가 남긴 유쾌한 명언과 어록들 1856년 7월 26일 ~ 1950년 11월 2일에 생을마감한 조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 그의 죽음에 비석이 새겨졌는데 이 버나드 쇼의 묘비명에는 아직도 풀리지않은 미스테리한 명언이 남겨져 있습니다. "I knew if I stayed around long enough, something like this would happen." "우물쭈물 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다." <버나드쇼의 명언> ◎ 남자는 많이 알수록, 여행을 할수록 시골소녀와 결혼하길 원한다.-버나드 쇼 ◎ 가능한 한 일찍 결혼하는 것은 여자의 비지니스이고, 가능한 한 늦게까지 결혼하지 않 고 지내는 것은 남자의 비즈니스이다. -버나드 쇼 ◎ 건전한 육체에 건전한 정신이 있다 는 것은 미련은 말이다. 건전한 육체는 건전한 정신 의 소산이기 때문이다.-버나드 쇼 ◎ 결혼은 그것이 최대 유혹과 최대 기회의 결합이기 때문에 인기가 있다.-버나드 쇼 ◎ 그대가 할일은 그대가 찾아서 하라. 그렇지 않으면 그대가 해야 할일은 끝까지 그대를 찾아 다닐것이다.-버나드 쇼 ◎ 남자가 여자의 교양의 시금석은 싸울때 어떻게 행동하는가이다. -버나드 쇼 ◎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버나드 쇼 ◎ '로마에가면 로마 사람들이 하는 대로 하라는 것'이 성공의 가장 확실한 길이다.-버나드 쇼 ◎ 모든 행로는 무덤에서 끝난다. 무덤은 無의 입구이다.-버나드 쇼 ◎ 인간이 호랑이를 죽이때는 그것을 스포츠라고 한다. 호랑이가 인간을 죽일때는 사람들 은 그것을 재난이라고 한다.범죄와 정의와의 차이도 이것과 비슷한것이다. -버나드 쇼 ◎ 미인이란 처음으로 볼때는 매우 좋다. 그러나 사흘만 계속 집안에서 상대해 보면 더보 고 싶지가 않게된다.-버나드 쇼 ◎ 비겁자가 되지 않고는 영웅이 될수 없다. -버나드 쇼 ◎ 살아 있는 실패작이 죽은 걸작보다 낫다. -버나드 쇼 ◎ 선행이란 악행을 조심하는 것이 아니라 악행을 바라지 않는 것이다. -버나드 쇼 ◎ 애국심이란 자기의 조국이 다른 모든 나라보다 고귀하고 우월하다고 믿는 신앙을 말한 다. -버나드 쇼 ◎ 어버이라는 것은 하나의 중요한 직업이다. 그러나 여지껏 일찍이 아이들을 위해, 이 직 업의 적성검사를 한적이 없다. -버나드 쇼 ◎ 세상에서 가장 어리석은 사람은 표피 3cm에속는 사람이다. -버나드 쇼 ◎ 수치스러운 집안의 비밀에서 벗어 날수 없다면 차라리 그것을 활용하는 편이 낫다. -버나드 쇼 ◎ 사리를 아는 사람은 자기를 세상에 적응시키고, 사리를 모르는 사람은 자기에서 세상 을 적응시켜려고 한다.-버나드 쇼 ◎ 어리석은 자는 수치스러운 일을 할때에도 그것이 언제나 그의 의무라고 선포한다. -버나드 쇼 ◎ 나는 상황이나 환경을 믿지 않는다. 이세상에서 성공한 사람들은 자리에서 일어나 그 들이 원하는 상황이나 환경을 찾는 사람이다. 그리고 그들이 원하는 상황이나 환경을 찾지 못할경우에는, 그들이 원하는 상황이나 환경을 만든다.-버나드쇼 ◎ 꿈꾸지 않는 자에게는 절망은 없다.-버나드 쇼 <버나드쇼의 일화들> 1. 어느날 직업을 불문하고 영국의 사회 지도층 인사들에세 전보를 보냈다고한다. "다들통 났음,. 빨리 도망쳐라." 때문에 영국이 한동안 마비 되었던 건 말할 필요도 없다. 심지어 그들의 불륜을 알고 있다는 사기꾼들의 협박전화가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2. 그는 누군가가 가장 유명한 소설가 10명을 적어 달라는 요청에 자기 이름을 열번 적 으며."남들이 오만하다고 생각하지도 않는 정도의 자신감은 쓸모 없다" 라고 말했다. 3. 밤새 집필 작업을 마치고 새벽녘에 잠이 든 버나드 쇼의 방에 그의 부인이 들어 왔다. 부인이 그의 원고를 읽고 나서, "당신의 글은 쓰레기 감이에요!" 하고 소리치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맞아. 하지만 , 일곱번째 교정을 마친 후에는 완전히 달라져 있을거라고" 4. 한 신문사 기자가 "금요일에 결혼하면 불행해진다는 속설을 믿으시나요?" 란 질문에 그는 " 물론이지. 금요일이라고 예외일수는 없지" 라고 대답했다 5. 버나드쇼(1856-1950)가에 반한 희대의 무용수 이사도러 던칸(1856-1927)이 쇼에 게 작업을 걸었다. "우리 두사람이 결혼하면 쇼 선생님의 명석한 두뇌와 소년의 미모를 합한 2세가 태어 날터인데 좋은일 아닙니까?" 하면서 적극적으로 대시한다. 쇼가 말하길 "그것 참 좋은 생각이요. 다만 한가지가 걱정되는 구료" 던칸이 생각하기로 쇼 선생도 별것 아니야 내미모에 안넘어 갈리 없지 속으로 쾌재를 부른다. 그런데 쇼가 한말, "내 이 못생긴 얼굴에 당신의 그머리 합해서 애가 태어나면 가관일 것이요." 얼굴이 벌게진 던칸은 말없이 물러갔다. <버나드쇼의 어록> 내가 죽을 때는 철저하게 소모된 다음 죽기를 원한다. 더열심히 일할수록 더 오래 살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삶 자체를 즐긴다. 나에게 인생은 더이상 '곧 꺼질 촛불'이 아니다. 인생은 잠시들고 있는 영롱한 횃불이같은 것이다. 다음세대에게 그것을 넘겨주기 전에 가능하면 밝게 타오르게 하고 싶다. 삶속에서 일어나지 않길 바라는 것은 절대로 입 밖에 내지 말자.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병들고, 피로하고 , 두렵다고 말하려 할때 잠깐 멈추자. 뭐 든지 다 할수 있다고 미리 떠들어 대지도 말자. 대신 조용히 침묵하자 끊임없이 불평을 해대며 억지로 부담을 주려는 사람들과는 되도록 거리를 두자. 새로운 것에 흥미를 갖거나, 새로운 계획에 착수해 활기 있게 살자. 또는 일상적 삶을 즐기려 노력하자. 초라한 자아 이미지는 버리자. 자기를 훼손하는 꼬리표를 붙이거나 혹은 그런 언급을 하지 말자. 당신에게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있다면, 더이상 그런식으로 인식되기를 윈치 않는다고 알리자 ... 버나드 쇼의 어록 중에서 |
조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
아일랜드(영국)의 극작가, 소설가, 문학비평가, 사회주의 선전문학가.
출생-사망 1856년 7월 26일 - 1950년 11월 2일
국적 : 영국
활동분야 : 문학
출생지 : 영국 더블린
주요수상 : 노벨문학상(1925), 1938년 아카데미각본상
주요저서 :《인간과 초인 Man and Superman》(1903)
아일랜드(영국)의 극작가, 소설가, 문학비평가, 사회주의 선전문학가.
출생-사망 1856년 7월 26일 - 1950년 11월 2일
국적 : 영국
활동분야 : 문학
출생지 : 영국 더블린
주요수상 : 노벨문학상(1925), 1938년 아카데미각본상
주요저서 :《인간과 초인 Man and Superman》(1903)
----------------------------------------------------------------------------------------------------
"분배 무관심한 자본주의를 뒤엎는 게 사회주의" | ||||||||||||||||||||||||
[세계의 사회주의자] 죠지 버나드 쇼
| ||||||||||||||||||||||||
법률적으로나 실용적으로 가장 단순하게 설명하자면, 사회주의란, 사유재산을 공공재산으로 전환시키고 이로써 얻게 되는 공공 수입을 모든 주민에게 차별 없이 평등하게 분배함으로써 사유재산제를 완전히 철폐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유재산 즉 '물적' 재산은 최대한 축적하되 수입의 분배에 대해서는 아랑곳하지 않는 자본주의를 뒤엎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완전한 도덕적 전환을 수반한다."
조지 버나드 쇼는 1856년 아일랜드의 수도 더블린에서 옥수수 상인이었던 부친 조지 카 쇼와 루신다 엘리자베스 걸리 쇼 사이에서 1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더블린에서 학교를 다니다 부동산 사무소에서 일하던 그는 스무살이 되던 1876년 런던으로 이사갔다. 대학교육을 받은 적이 없었던 그는 대영박물관에서 책을 읽거나 당시 런던사회 중류계급 지식인들의 논쟁을 접하며 스스로 지식을 쌓아가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19세기 말 유럽사회에서 널리 퍼지기 시작한 사회주의 사상을 자연스럽게 접하기 시작했다. 사회주의그룹 활동 쇼는 이 시절 틈틈이 소설을 쓰기도 했지만 20대 청년시절 그가 발표했던 소설들은 모두 출판사의 외면을 받았다. 그러던 와중에 쇼는 사회민주연맹 등 당시 속속들이 출현했던 사회주의그룹에 속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벌이기 시작했다. 특히 1884년에 가입한 페이비언 협회(Fabian Society)는 그의 남은 인생을 규정할 만큼 의미가 컸던 조직이었다. 그는 페이비언 협회 가담과 함께 이 협회의 중심인물이 됐다. 노동조합 및 노동운동 연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인 베아트리스·시드니 웹 부부가 함께했던 온건 좌파 조직인 페이비언 협회는 의회를 통한 점진적인 사회개혁을 추진하려는 사회주의 조직으로 나중에 영국노동당 건설의 일주체가 된다. 시드니 웹의 표현에 따르면 이 협회는 혁명이 아닌 지적·정치적 생활의 '침투'를 통한 영국 사회의 변화를 목표로 했다. 버나드 쇼는 이 협회 일을 하면서 <페이비언 선언>, <진정한 급진 프로그램> 등 사회주의 저작을 발간하고 1889년에는 영국 사회주의의 고전이 된 <사회주의에 대한 페이비언적 연구 Fabian Essays in Socialism>를 편집하는 등 페이비언 사상의 형성에 많은 기여를 했다. 이 책은 최근 고세훈 고려대 교수의 번역으로 <페이비언 사회주의>(아카넷)라는 이름으로 출간됐다.
“페이비언협회가 주창하는 사회주의는 전적으로 국가사회주의이다.…영국은 현재 정교한 민주적 국가기구를 가지고 있다.…우리에게는 대륙의 군주제 국가들에서 볼 수 있는 국가와 인민 간의 대립이라는 장애물은 없다. 예를 들어 독일에서처럼 국가사회주의와 사회민주주의 간의 구분은…영국에서는 의미가 없다.” 노동자 정당 결성 활동 당시 영국은 산업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됐던 만큼 노동계급의 형성도 빨랐으며 이에 따라 조직된 노동운동의 정치세력화를 향한 모색이 조금씩 꿈틀거리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페이비언 협회의 대표적인 활동가였던 조지 버나드 쇼는 영국 노동조합과 정치그룹을 오가며 노동자 정당 결성을 위한 활동을 펼치게 된다. 1893년에 쇼는 영국노동당의 전신인 독립노동당 결성으로 이어진 브래드포드 회의에 페이비언 협회를 대표해서 참석했다. 당시 영국 노조운동 안에서는 독자적인 정당의 결성보다는 자유당을 통한 정치적 영향력 행사를 원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쇼는 1896년 영국의 노동조합평의회(TUC)에 노조운동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는 정당의 결성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이후 쇼는 노조평의회에서 노동운동의 정치세력화를 위한 최선의 방안을 마련하는 일을 맡기도 했다. 그의 이같은 노력에 힘입어 영국의 노동조합운동진영은 독립노동당, 페이비언협회, 사회민주연맹 등 정치조직과 함께 1900년 노동대표위원회(LRC)를 결성했다. 1900년 결성 첫해 선거에서 초대 당수인 탄광노동자 케어 하디를 당선시킨 노동대표위원회는 1906년 29석을 확보하면서 이름을 현재의 노동당으로 바꿨다. 작품 속에서도 사회주의 암시 이 무렵 그는 페이비언 협회 활동과 함께 서평, 미술평론, 음악평론, 연극평론 등 왕성한 글을 쓰기 시작하며 문필가로서의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또 비평과 함께 자신의 작품을 발표하면서 극작가로서의 명성도 얻기 시작했다. 쇼의 초기작품 가운데는 〈홀아비의 집 Widowers' Houses>, 〈워렌 부인의 직업 Mrs. Warren's Profession〉, 〈유쾌한 극과 유쾌하지 않은 극 Plays Pleasant and Unpleasant〉등 '돈'이라는 경제적 요인으로 인한 당시 영국의 사회문제를 풍자하는 희곡들이 대부분이다. 한 예로 <홀아비의 집>은 사랑에 빠진 선량한 영국 젊은이가 미래의 장인의 재산과 자신의 수입이 가난한 이들을 착취한 결과임을 깨닫는다는 줄거리다. <인간과 초인 Man and Superman>등 1900년대 초에 그가 쓴 희곡들은 가난과 여성의 권리 등을 다루면서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문제를 사회주의로 해결할 수 있음을 암시하는 작품들이 대부분이었다. 1차대전시 반전평화운동 전개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은 쇼의 인생에 있어 하나의 전기를 마련했다. 쇼는 다른 저명한 사회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철저한 반전평화주의자가 됐다. 그는 작품활동을 중단하고 '애국심'이라는 미명하에 젊은 생명을 앗아가는 전쟁에 반대하는 선동문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독일은 물론 조국인 영국의 제국주의적 침략도 범죄행위로 규정한 그는 평화와 협상을 주장했고 일부 우익세력의 비난을 받기도 했다. 그의 이같은 반전평화운동은 1920년 무대에 올려진 <상심의 집 Heartbreak House>에서 극화되기도 했다. 쇼는 이 작품을 통해 전쟁 발발 직전의 한 시골집을 배경으로 전쟁의 유혈에 책임져야 할 세대의 정신적 파탄을 폭로했다. 잔 다르크의 이야기를 다룬 <성녀 조앤>은 세계적인 찬사를 받았고 1925년 버나드 쇼는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쇼는 이후에도 <여성을 위한 사회주의 안내> 등 사회주의의 이념을 쉽게 설명하는 팜플렛과 정치선동문을 작성하는 한편 사회적인 이슈에 대한 저서를 발간하며 1950년 11월 2일 숨을 거두기까지 사회주의에서 멀어지지 않고 한 평생 영국 사회민주주의운동에 속해 있었다. 그의 사회주의에 대한 신념은 다음과 같은 서술에서 잘 드러나 있다. "사회주의가 대중과 지식인의 신뢰를 쌓아 온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자본주의는 대중적 신뢰를 상실해 왔다. 그 결과 20세기 첫 4반세기 말 현재 유럽 정치 상황은 혼란스럽고 위험하다. 안정된 사회주의 국가의 실현은 사유재산―이를 개인 재산과 혼동해서는 안된다―의 철폐와 소득의 평등이라는 두 가지 주요 신조가 종교적 도그마처럼 민중의 마음을 사로잡게 될 때 비로소 가능하다." |
출처 : 한 숨 돌리고픈 휴게소...
글쓴이 : 안식을 찾아서 원글보기
메모 :
'이런저런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빌 게이츠의 하바드 대학 졸업식 연설 (0) | 2010.03.09 |
---|---|
[스크랩] `관포지교`의 이후 이야기 (0) | 2010.03.09 |
[책광고 릴레이] 삼성을 생각한다. (0) | 2010.02.04 |
[스크랩] LCD모니터 추가하기 (0) | 2009.02.19 |
[스크랩] 최신 그래픽카드, 소개 및 비교 (0) | 2009.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