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걷기&산행&자전거

[걷기코스] 단계택지-우산동-만종-한라대-연세대-무수막-분지동

by 걸어가다 2009. 12. 7.

혼자 지도를 보면서 생각해 왔던 길을 걸어보기로 하였다. 지난번에 만종에서 원주로 들어오는 길이 여의치 않아 봉화산을 넘어왔는데 이번에는 예전 국도로 만종까지 간 후에 연세대학교까지 가 보기로 하였다.

특히 무수막에서 용수골로 넘어가는 길은 꼭 시도해 보고 싶은 길이었다.

 

1. 코스명 : 원주 서남쪽

2. 거   리 : 약 18 Km

3. 소요시간 : 약 6시간

4. 난이도 : 별 2.5

5. 코스개요 : 단계택지-우산동- 우무개-만종-중부동-한라대-연세대-무수막-분지동

6. 세부코스 소개

  

 

 오후 1시 20분 경에 출발을 하여 덕원아파트 근처에 새로생긴 마트에 들려서 음료수와 간식을 샀다.

 소나무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뻣었다.

 우산동 철길지나 골목길을 나와서 좌측으로 철길과 평행하게 만종으로 가는 길이 있다.

 철길을 좌측으로 보면서 계속 걸어간다.

 예전 원주의 초입임을 알리는 표지석이 있다.

 새말에서 먹었던 꿩만두가 이곳에도 있었다.

 굴다리를 지나면 만종이다.

 이곳에서 길을 몰라 상만종 길로 접어들었다.

 

 

 

 

 

 기차길을 옆에두고 건너왔다 갔다 한참을 헤메며 만종역을 향해 걸어갔다.

 저만치 만종역이 보인다.

 만종역까지 올 필요는 없었는데 다음에는 다른 길을 개척 해 보아야겠다.

 42번 국도까지 걸어나왔다.

 원주 시내 방향

 여주 문막 방향

 길 건너 계량소를 운영하는 대학후배를 만나 잠시 소식을 나누었다.

 문막방향으로 조금 내려가다 중부동1길로 접어든다. 직선농로가 길게 뻗어있다.

 누군가 만들어 놓은 하트 나무

 나무위에 참새? 들이 많아 한장 찰칵

 드디어 상설 운전면허 시험장까지 왔다.

 조금 더 내려가자 한덕산업이라는 채석장이 있었다. 시내에서 멀지 않은 곳에 이런 시설이 있다는 것이 신기하게 느껴졌다.

 휴일임에도 작업은 분주하게, 시끄럽게, 지저분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바로 앞 다리를 건너면 하늘원 장례식장이 있다.

 이곳부터 제방을 따라 걷는다.

 물고기를 위한 어로인 모양이다.

 하지만 인위적으로 사방을 돌로 쌓아놓은 제방에 얼마나 고기가 올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아마도 4대강이 완공되면 이런 모습일까?

 물이 조금 모인 곳에 천둥오리? 가 노니는 모습도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수량은 많이 부족해 보였다.

 제방의 끝부분이다.

 좌측의 산이 보폭산의 줄기인 듯.

 제방을 빠져나와 버스정류장에서 잠시 쉬었다.

 우측으로 가면 대안천을 따라 대안리로 들어가고 직진하면 한라대 방향으로 간다. 고민하다 직직을 했다.

 주유소 근처에서 다시 차도를 벗어나 뚝방길을 걷기로 했다.

 역시 넓지만 황량하게 잘? 정비되어 있었다.

 역시 포복산이 왼쪽에 보인다.

 건너편 멀리 육민관고등학교도 보인다.

 농로를 계속 걸었다.

 멀리 한라대학교가 보인다.

 이제는 포복산도 멀어져 간다.

 시야가 탁 트이는 넓은 평원이다.

 좁은 도회지에서 빌딩만 보다가 넓은 곳을 보니 마음이 새롭다.

 드디어 한라대학교 앞 대학촌이다.

 낙엽이 떨어진 한라대학교 입구

 내가 졸업한 대학교도 '인의예지'였는데 이곳도 '인의예지'다. 사람에게서 중요한 덕목이리라.

 한라대학교 본관?

 풋살경기장에는 매주 유소년축구단의 연습이 있다. 아이들 연습을 도와주면 골키퍼를 보는 아는사람^^

 한라대학교 후문을 빠져나왔다.

 마을로 들어가는 길

 마을회관?

 이곳이 '흥대마을'인 모양이다.

 '개건너'가 이사를 왔단다.

 외곽 순환도로를 향해 걸어갔다.

 계속해서 직진하면 농수로가 보인다. 아마도 매지저수지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

 

 

 

 저 멀리 보이는 산 아래 길을 따라 계속 왔다.

 

 매지 저수지

 

 지도에는 매지호수라고 나온다.

 

 정자가 있다.

 정자에서 바라 본 풍경

 

 정자 아래에는 무언지 알지 못하는 시설이 있었다.

 호수를 끼고 오솔길이 이어져 있다.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운동장 아래에 있는 숲길

 

 연세대학교 운동장을 잔디구장으로 공사하고 있었다.

 본부석을 꾸미고 트랙? 은 아스팔트로 포장했다. 농구장 자리도 아스팔트로 포장했다.

 

 조명탑도 설치되어 있었다.

 

 

 흑먼지 날리던 체육관 옆 주차장도 말끔하게 포장되어 있었다.

 연세대학교 초입에 있는 다리도 보수공사를 하고 있었다.

 정문 건너에서 바라본 연세대에는 연구소등이 있었다.

 너무 여유를 부렸는지 시간도 늦어지고 길도 잘 몰라서 주민에게 물어서 무수막으로 방향을 잡았다.

 인도가 따로 없어서 차도를 걸었다.

 매지자동차운전학원을 조금 지나서 무수막으로 들어가는 길이 있다.

 한참을 올라가니 매산관광농원을 알리는 팻말이 있다.

 

 벌써 하늘에 달이 떴다. 아무래도 불안하다. 길도 잘 모르는 초행인데...

 이곳에서 실수를 하고 말았다. 좌측 마을회관 방향으로 갔어야 하는데 매산관광농원 방향으로 한참을 올라가서 헤메이는라 시간을 많이 허비했다.

 일 길을 올라갔다가 내려왔다. 어둠이 깔리고 사방을 분간 하기 힘들었다. 피로도 몰려왔다. 겨울에는 해가 떨어지기 시작하면 급격히 어둠과 추위가 몰려온다는 것을 간과했다. 설상가상 동네 아주머니를 만나서 여쭤보니 용수골로 넘어가는 길이 예전에는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졌단다. 아쉬움을 뒤로하고 왔던 길을 돌아서 내려왔다.

 삼미막국수 앞 19번 국도변까지 왔는데 피로가 몰려오고 집까지 걸어가는 것이 무리겠다 싶어 버스를 기다리려는데 빈택시가 왔다. 다음을 기약하고 집으로 향했다.

 집에 도착하니 6시 14분, 택시비는 8천원 나왔다.

이번 걷기는 준비가 너무 부족했다. 특히 코스를 사전에 잘 익히지 못한 것이 완주하지 못한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출발이 늦었음에도 여유를 부리며 시간 배분을 잘 못하고 겨울 낮시간의 길이를 몰랐던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다음을 기약하며 나름대로는 의미있는 시간이었다고 위로했다.